본문 바로가기
주식

FDA 알츠하이머 신약 승인!-메디프론(065650)

by Trader Black 2023. 1. 26.
반응형

종목 추천이 아닙니다. 글쓴이의 개인적인 의견일 뿐이며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FDA가 일본의 에자이와 미국의 바이오젠이 개발한 '레카네맙' 승인하면서 메디프론이 관련주로 부각돼 상승했습니다. 관련해서 공부해둘 필요가 있어서 메디프론에 대해 다뤄볼까 합니다.

1. 기본 정보

 1) 설립 일자: 1997.03.18

 2) 소재: 서울특별시 금천구

 3) 연혁

  - 2016.04 특허권 취득(신규 벤조퓨란계 유도체 인지기능 장애)

  - 2017.10 기술도입계약 (국내의 전용실시권)

   ● 계약 기술 1: 혈액 검사 항목의 뇌의 베타아밀로이드 축적 관련 질환 진단용 용도
   ● 계약 기술 2: 뇌의 베타 아밀로이드 축적 감별용 혈중 바이오마커

  - 2017.12 유상증자(주주배정, 증자 후 자본금 14,719백만원)

  - 2019.07 기술도입계약(해외 전용실시권 추가)
   ● 계약 기술1 : 혈장 내 아밀로이드베타의 농도를 통해 알츠하이머병을 임상학적 및 병리학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
   ● 계약 기술2 : 뇌의 베타 아밀로이드 축적 감별용 혈중 바이오마커

  - 2020.04 유상증자(3자 배정, 증자 후 자본금 18,106백만원)

  - 2020.05 (주)뉴메이스 지분(20%) 취득

  - 2020.05 유상증자(3자 배정, 증자 후 자본금 18,599백만원)

  - 2020.06 바르는 비마약성 진통제(1% MDR-652겔)의 임상시험계획 승인

  - 2020.07 식약처 품목허가 승인 (뇌 내 베타아밀로이드 축적 여부 확인에 도움을 주는 체외 진단 의료기기)

  - 2020.11 (주)에스제이코레 지분(100%) 취득 결정

  - 2021.02 유상증자(3자 배정, 증자 후 자본금 20,856백만원)

  - 2021.02 (주)에스제이코레와 소규모합병

  - 2021.03 특허권 취득 (N-치환 티오우레아 또는 우레아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글루타미닐 사이클레이즈 활성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2021.05 콘텐츠 부문 사업 중단 결정

  - 2021.06 "케펠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1호" 수익증권 양수

  - 2021.09 제10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발행 (40억원)

  - 2022.05 바르는 비마약성 진통제(1% MDR-652겔) 임상 1상 개시

  - 2022.06 제11회 무기명식 이권무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발행 (50억원)

  - 2022.06 유상증자 결정(3자 배정, 전환우선주 8.666.661주)

  - 2022.06 유상증자 결정(3자 배정, 보통주 3,333,333주)

  - 2022.08 제12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발행(30억원)

  - 2022.09 전환사채 발행 후 만기 전 사채 취득(제10회차, 1억원)

  - 2022.09 유상증자결정 변경으로 인한 정정(3자 배정, 보통주 3,856,041주)

 4) 주주에 관한 사항

  -

[메디프론 DART 분기 보고서 2022.11.14]

  - 최대 주주 (주)티사이언티픽: 해당 기업의 최대 주주는 (주)위지트

 5) 계열사 등에 관한 사항

  - 계열사 현황

  ● (주)티사이언티픽

  ● (주)이엔코퍼레이션

  ● (주)아이즈비전

  ● (주)파워넷

  ● (주)위지트

  ● 한성크린텍(주)

  ● (주)이엔워터솔루션

  ● (주)이클린워터

  ● (주)제이에스아이컴퍼니

  ● (주)제이에스아이홀딩스

  ● (주)이에셋글로벌

  ● (주)마이크로크린

  ● 대양엔바이오 주식회사

  - 타법인 출자 현황

  ● (주)뉴메이스: 전략적 사업 제휴

2. 사업의 내용

 1) 바이오 신약 사업 부문

  -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제: 치매 원인 물질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응집 및 독성 억제 신약 개발을 통한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를 위해 지속적해서 노력해왔습니다. 신약 후보 물질 MDR-1339는 베타아밀로이드 응집 억제 및 섬유와 응집 해제를 통해 독성 방출을 차단해 뇌세포 사멸 방지 작용 기전으로 개발됐습니다. 대웅제약과 공동 연구개발을 통해 임상 1상을 완료하고 임상 2상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른 후보 물질 MDR-066은 Reception for Advance Glycation Endproduct (RAGE) 수용체가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의 뇌 속 전달 역할 차단 기전으로 개발됐으며 로슈와 2억 8천만 달러 규모 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MDR-1703은 글루타미닐 사이클레이즈 효소에 의해 변형된 베타아밀로이드 생성 저해로 베타아밀로이드 플라크 발생 및 신경독성 차단 기전 신약후보 물질로서 2021년 3월 국내 특허 취득했습니다. 전남대학교와 공동 연구로 O-GlcNAcase(OGA) 활성 및 타우 단백질 과인산화 억제로 타우 단백질 변성, 응집 방지 기전 선도물질 MDR-0214 발굴에 성공해 2020년 11월 국내 특허 출원했습니다. 

  - 비마약성 진통제: 당사는 환부에 바르는 경피성 통증 치료제 MDR-652를 개발했습니다. MDR-652는 TRPV1 효현성 작용 기전으로 하는 겔 타입 국소용 비마약성 진통제입니다. 대상포진 통증, 당뇨병으로 인한 신경 통증, 섬유근육 통증, 수술 후 통증 등 신경 손상 유래 통증 억제에 효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2022년 5월 임상 1상을 개시해 진행하고 있습니다. 

  - 치매 조기 진단키트: 당사와 퀸타매트릭스가 공동 개발하고 있는 진단키트는 혈액에 존재하는 다중 바이오마커 측정을 통한 알츠하이머성 치매 진단 지표인 베타아밀로이드의 뇌재 축적 여부를 확인하는 진단기기입니다. 

 

 

 2) IT 유통사업 부문

  - PC 주변기기 선도 브랜드인 로지텍 제품군을 통해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이뤄가며, 로봇청소기 아시아 점유율 1위 브랜드 에코백스 제품군을 새로이 들여와 매출 확대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소비자 인정 제품의 지속적 발굴과 적극적인 마케팅 활용을 통한 오픈마켓 및 쿠팡/위메프 등의 소셜 커머스 시장 등 주요 이커머스 플랫폼에서 판매 및 수익 창출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3) HMR 사업 부문

  - 간편식 사업 부문은 '추억의 국민학교 떡볶이', 뉴트로, K-TOWN이라는 브랜드로 냉동 및 상온 떡류 간편식 제품 제조 및 상품 공급을 하고 있습니다. 

 

3. 재무

  -

[출처: 네이버 증권]

4. 히스토리

  - 2017.06.05 치매 국가책임제 공식화에 상승

  - 2017.08.09 중증 치매 진료비 경감 소식에 상승

  - 2017.10.24 메디프론의 혈액을 통한 치매 조기진단 기술 이전 소식에 치매 관련주 동반 상승

  - 2017.11.20 정부의 치매국가책임제 지원방안 마련 기대감에 강세

  - 2018.02.05 정부, 치매 연구개발 사업 약 1.1조 투자 소식 등으로 강세

  - 2018.04.05 삼성전자, 치매·난치암 연구 등 미래기술 육성사업 지원 소식에 상승

  - 2018.07.20 국제 알츠하이머협회 컨퍼런스(AAIC2018) 앞두고 상승

  - 2019.10.23 美 바이오젠, 알츠하이머 치료제 임상 3상 성공 소식에 상승

  - 2019.11.27 SK케미칼, 치매 치료 패치 美 FDA 시판 허가 획득 소식에 일부 관련주 상승

  - 2020.11.05 美 바이오젠 알츠하이머 치료제, FDA 판매 허가 승인 기대감에 상승

  - 2021.06.08 美 바이오젠 알츠하이머 치료제 FDA 승인 소식에 상승

  - 2023.01.09 에자이-바이오젠 공동개발 알츠하이머 치료제 레카네맙, FDA 신속승인 소식에 상승

[출처: 인포스탁 종목 이슈]

 

5. 차트

  -

[출처: 네이버 증권]

다시 말씀드리지만, 이 글은 모두 글쓴이의 개인적인 의견과 생각을 담아 쓴 글입니다. 아직 주식 초보이기에 고수분들처럼 좋은 판단력을 가지지도 않았습니다. 모든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을 생각하고 신중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댓글